2025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 확정!
2025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이 2.3% 인상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오늘은 2025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과 인상액에 따른 예상 수령액 및 공무원 연금 계산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2025 내 공무원 연금 수령액 확인 바로가기를 이용하세요
2025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
공무원 연금인상률은 2024년 소비자 물가 변동률을 기준으로 인상됩니다. 2024년 물가상승률이 2.3%로 결정됨에 따라 2025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도 2.3%로 확정되었습니다.
- 공적 연금 (공무원연금, 국민연금, 군인연금, 기초연금): 물가상승률 기준으로 인상률 결정
역대 공무원 연금 인상률
기존 공무원 연금 인상률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연도 | 인상률 |
2025 | 2.3% |
2024 | 3.6% |
2023 | 5.1% |
2022 | 2.5% |
2021 | 0.5% |
2016 - 2020 | 동결 |
2025 공무원 연금 예상 수령액
단순하게 인상률 2.3%로 계산하면, 2024년 기준 250만 원의 연금을 받았던 분은 2025년 월 57,500원 인상된 2,557,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1년 기준 연금 수령액이 약 684,000원 인상됩니다.
2024 월 연금액 | 인상률 (%) | 인상액 | 2025년 월 연금액 |
2,500,000 | 2.3 | 57,500 | 2,557,500 |
3,000,000 | 2.3 | 69,000 | 3,069,000 |
그러나 실제 2025년 1월 공무원 연금 예상 수령액은 매년 1월 확정되는 이행률과 기존 소득을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아래는 2025년 공무원 연금 예상 수령액 표를 참고하세요.
위 표는 다운로드하여 보시면 더 좋습니다.
위 예시로 든 총 경력 31년 2개월의 공무원의 경우 2024년 12월의 연금액은 2,355,940원이었는데 2025년 1월의 연금액은 19,520원이 증가된 2,375,460원이 됩니다.
2월부터 4월까지 매월 증가되는 연금액은 7,520원 정도인데 2025년 1월에는 19,520원이 증가하게 됨을 알 수가 있습니다.
한 달에 19,520원이 적은 금액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매년 복리로 인상이 되고 퇴직 후 수십 년간 연금을 받기 때문에 결코 적은 금액은 아닙니다.
이렇게 1월에 2만 원 가까이 인상되는 원인을 살펴보면 우측의 파란색의 '이행률' 숫자를 보셔야 합니다.
2024년 12월에는 이행률이 80.76이었는데 2025년 1월부터는 81.55% 증가하게 되어 연금이 평상시보다 더 많은 19,520원이나 증가하게 된 것입니다 공무원이라면 누구나 화면에 이행률 중 하나를 적용받게 되는데 오늘 살펴본 31년 된 일반 공무원의 연금액은 1월 달 2일의 증가로 인하여 19,520원 정도의 연금액이 증가한다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래에서 내가 받을 공무원 연금을 바로 확인하세요.
공무원 연금 계산 방법
그럼 위 예시의 공무원 연금인상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공무원 연금 계산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바로 '소득'입니다. 재직 중 벌어 들이는 소득에 따라 노후에 받게 되는 연금액이 달라진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특히 2010년을 기준으로 소득 산정 방식에 큰 변화가 있었는데 2010년 이전과 이후의 소득 계산 방식의 차이점과 이행률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2010년 이전: '보수월액' 중심의 연금 계산
2010년 이전에는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연금을 계산했습니다. 보수월액은 기본 급여 총액에 기말수당, 정근 수당, 정근 수당 가산금을 더한 금액을 12개월로 나눈 값입니다. 즉, 현재 공무원들이 받는 명절 상여금, 가족 수당, 직급 보조비, 민원 수당, 위험수당, 기술 수당, 시간 외 수당, 연가 보상비, 성과급 등은 연금 계산 시 소득으로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보수월액 계산식: (기본 급여 총액 + 기말수당 총액 + 정근 수당 총액 + 정근 수당 가산금 총액) / 12 이러한 계산 방식 때문에 당시에는 입사 동기나 승진 시기가 비슷한 경우 연금액이 거의 동일했습니다.
2. 2010년 이후: '기준 소득 월액' 중심의 연금 계산 및 변화
2010년 이후 연금 개혁으로 인해 연금 계산 방식이 '보수월액'에서 '기준 소득 월액'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준 소득 월액에는 2010년 이전에 소득으로 인정되었던 항목들은 물론, 명절 상여금, 가족 수당, 직급 보조비, 민원 수당, 위험수당, 기술 수당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뿐만 아니라 시간 외 수당, 연가 보상비, 성과급 등 공무원 공통 수당은 직급 평균액으로 계산되어 기준 소득 월액에 포함됩니다.
- 기준 소득 월액: 과세되는 월급 소득 전체 + 직급 평균 공통 수당 즉, 2010년 이후에는 과세되는 월급 소득 전체가 연금 계산에 반영되면서 개인별 수당 차이에 따라 동기들 사이에서도 연금액이 달라지게 되었습니다.
3. '이행률'이란?
공무원 연금에서 '이행률'이란 퇴직 후 연금으로 받는 금액이 재직 기준 소득에 대해 어느 정도 비율로 지급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2010년 이후 소득 산정 방식이 변경되면서 연금 계산 시 산정되는 소득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연금액이 과대 계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행률을 곱하여 소득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 이행률 적용 이유: 2010년 이후 소득 증가로 인한 연금 과대 계상 방지 이행률은 2010년부터 경력별로 적용되었으며, 대부분 경력 연수가 바뀌는 1월에 변경됩니다. 공무원들은 보통 1월에 경력 연수가 바뀌기 때문에 이행률 또한 1월에 변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정리 : 2010년 이전 vs. 2010년 이후
구분 | 2010년 이전 | 2010년 이후 |
---|---|---|
소득 기준 | 보수월액 | 기준 소득 월액 |
포함 항목 | 기본 급여, 기말/정근 수당, 정근 수당 가산금 | 과세 소득 전체 + 직급 평균 공통 수당 |
연금액 차이 | 동기 간 거의 동일 | 개인별 수당 차이에 따라 달라짐 |
추가 요소 | 없음 | 이행률 (소득 조절 목적) |
더 자세한 공무원 연금 계산 방법 설명은 아래 연금 봉급 TV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맺음말
오늘은 2025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과 예상 수령액 및 공무원 연금 계산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렸습니다. 국가를 위해 헌신한 공무원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더 높은 연금 인상률이 적용되어 행복한 은퇴 후 생활 즐기시길 바랍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댓글